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Spring] Spring MVC 의 개념과 동작 방식 Spring MVC 패턴에 대해서.. Spring 의 웹 계층을 담당하는 모듈 중에는 서블릿 API 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는 모듈이 있고, 그 모듈의 이름은 spring-webmvc 이다.  서블릿 이란?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특정 규약에 맞춰어서 Java코드로 작성하는 클래스 파일이며, 흔히 사용하는 아파치 톰캣은 서블릿들이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되도록 해주는 서블릿 컨테이너 중 하나이다.  MVC 는 무슨뜻인가?MVC 는 각각  Model , View , Controller 의 약자이다.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응답으로 돌려줄 작업 처리의 결과 데이터를 Model웹 브라우저와 같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보이는 리소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View Model 과 Vi.. 2024. 6. 23.
[Spring] POJO, IoC, DI, AOP, PSA 가 뭔데? 내가 배운걸, 남에게 쉽게 설명해줄 수 없다면 내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거라고했다.Spring 의 기초와 관련된 개념적인 단어들의 정의를 공부하면서 내가 이해할 수 있는 단어들로 정리해보려고한다. POJO 란?POJO 는 Plain Old Java Object 의 약자로, 순수하게 자바가 제공하는 기능만을 이용하여 만든 객체를 의미한다.이는 외부 라이브러리나 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제공하는 API 등을 사용하지 않은 클래스 객체이기 때문에, 특정 환경에 종속적이지 않고 어느 JAVA 프로젝트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oC 란?IOC 는 Inversion of Control 의 약자로 영어 그대로 해석하면 "제어의 전도" 라고 할 수 있다. 조금 풀어서 얘기하면 자바 모듈의 실행 등.. 2024. 6. 22.
[HTTP] POST 가 있는데 GET 메소드는 왜 쓰일까? 기초적인 HTTP 메서드를 공부하면서,  GET 메소드가 왜 쓰이는지는 궁금할 때가 있었다. 처음에는 단순히 "GET 방식은 URL 에 파라미터를 직접 전달하고, POST 는 BODY 쪽에 파라미터를 넣어서 URL 에 직접적으로 노출이 되지 않는다." 라는 개념으로 공부를 했는데  REST API 를 공부하고 나서는 GET 방식과 POST 방식이 단순히 파라미터를 넘기는 방식의 차이 외에도,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행위의 목적 자체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런데 ..... 대체 왜 ... GET 방식은 파라미터를 URL 에 기재하는걸까? 사실 파라미터를 URL 에 넣게끔 설계하게된 계기나 처음 설계한 사람의 의도를 내가 알지는 못하지만,조금만 생각해보면 GET 방식의 장점을 금방 떠올릴 수 있다. 예를.. 2024. 6. 16.
[네트워크] REST API 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feat. RESTful API) REST API ?REST API 에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는 로이 필딩이라는 사람이  사학위 논문에서 웹(http) 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처음 소개된 개념이다. REST API는 웹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자원(Resource)을 HTTP URI로 표현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과 응답을 정의하는 방식을 말한다. REST API 의 특징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분리된 컴포넌트로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무상태성(Statelessness): 각 요청은 클라이언트의 컨텍스트를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서버는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캐시 가능(Cacheable): 응답은 캐시 .. 2024.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