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련 단어들의 개념을 정리해보자.
LAN (Local Area Network)
좁은 범위 (동일 건물, 가정, 학교 등) 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넓은 범위 (도시, 국가 또는 전세계 등) 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할때의 공통 규약 같은 개념, TCP/IP 등
TCP/IP
각각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의 약자로 인터넷이 처음 시작되던 시기에 정의되어 현재까지도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4계층 모델로 구성됨.
IP 주소
TCP/IP 구조에서 대상 네트워크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 네 덩이의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있음
MAC 주소
네트워크 기기가 만들어질 때 제조사에서 할당하는 고유 시리얼 주소. MAC 주소와 IP 주소를 조합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함.
이더넷 에서는 네트워크상의 송수신 대상을 특정할 때 MAC 주소를 사용하고, TCP/IP 에서는 IP 주소를 사용한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의 약자로, 같은 LAN 안의 기기와 통신할 때 상대방의 MAC 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네트워크 전체에 브로드 캐스트를 통해 패킷을 보내고, 해당 IP 사용중인 네트워크 기기가 자신의 MAC 주소를 응답하게 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패킷 (Packet)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서 , 원본 데이터를 패킷이라고 하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서 여러 회선을 공용해 통신을 주고받으며, 하나의 패킷은 헤더와 패이로로 구성되어있음. 헤더에는 패킷에 대한 제어정보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 프로토콜 정보) 등이 있으며 페이로드는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한 부분
'개발과 관련된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REST API 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feat. RESTful API) (1) | 2024.06.16 |
---|---|
[네트워크] TCP/IP 4계층 모델 (0) | 2024.06.13 |
[Java] 어노테이션(Annotaion / 애너테이션) (0) | 2024.06.04 |
[IntelliJ] Can't rename root module 프로젝트 이름 변경 방법 (0) | 2024.04.12 |
HTML&CSS 에서 class 를 쓰는 이유? (0) | 2021.09.12 |
댓글